커스텀 자료형을 만들어 본다
JVM을 실행하면 첫 번째로 static을 찾는다.
static : 정적 메모리 영역, main이 실행되기 전에 뜬다. (메모리를 가장 많이 잡아먹음)
heap : 동적 메모리 영역, main이 실행되는 도중에 뜬다.
static (정적 메모리 영역)
package ex04;
class Person1{
static int age = 20; // JVM을 실행하면 첫 번째로 static을 찾는다.
static char gender = '여';
}
public class MemEx01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ystem.out.println(Person1.age);
System.out.println(Person1.gender);
}
}

Heap (동적 메모리 영역)
package ex04;
class Person2 {
int age = 10;
char gender = '남';
}
public class MemEx02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ystem.out.println("1년 지남");
System.out.println("1년 지남");
System.out.println("1년 지남");
Person2 p = new Person2(); // Person2 class안에 static을 넣지 않고 여기서부터 불러옴. new 동적 할당
System.out.println(p.age);
System.out.println(p.gender);
System.out.println("메인 종료");
}
}

Share article